1. 한국화를 표현하는 작가들에게‘전통’의 개념은 중요하다. 전통의 개념을 벗어나면 한국화의 정체성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한국화가 서양화와 비교했을 때 전통의 차이점에서 한국화의 정체성이 드러난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화는 서양화와 특별하게 구별하지 않는다. 한국화 내에 서양화의 표현 방법들이 융화되어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서양화 속에서도 동양적인 표현 방법들이 유입되어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작가들도 한국화, 서양화 하는 구분을 하지 않고 자신의 의도에 따라 서로의 표현들을 이용하며 다양하게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화의 전통을 지키고 한국적 표현만을 주장하는 작가들도 많다.
무엇이 한국화인가? 라고 했을 때 전통적으로 전해져 오는 표현방법으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한국화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붓, 한지, 먹, ... 등은 한국화를 제작하는데 중요한 재료이고 이들 재료를 가지고 산수화, ... 화조화 등을 표현하는 것이 동양에서 작품을 제작하던 전통적인 방법이다. 여기에 더해서 먹을 중심으로 하는 수묵화, 색을 중심으로 하는 채색화 등이 전통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확실히 천이나 유화물감, 아크릴물감 등을 사용하는 서양화와는 다른 표현 방법이다.
그리고 한국화 작가들은 대부분 한국화 표현의 전통 속에서 발전을 꾀한다고 생각하며 전통을 지켜야만 작품세계가 빛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항상 전통을 이어가려 하고 또 전통적인 표현 속에서 작품세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하지만 전통만으로 새로운 작품세계를 형성하기는 쉽지 않다. 기존의 전통을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유입하여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갈 때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것과 같이 기법과 재료의 새로운 발견을 통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확장시켜 갈 때, 기존의 표현 방법과 다르게 실험적으로 작품을 제작할 때, 새로운 전통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한국화 분야에서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실험적이고 새로운 작품세계를 추구하는 작가들이 많은데 그 가운데 한 사람이 임무상이다.
임무상은 그의 나이 세대 작가들에 비교하면 실험적이고 모험적인 표현을 하는 작가이다. 평면 입체할 것 없이 수묵화, 채색화, 진경산수화, 관념산수화, 동물화를 다양하게 표현할 뿐 아니라 오브제를 이용하는 작품도 시도하곤 한다. 그만큼 작품세계의 폭이 넓다고 할 수 있다.
2. 임무상은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으며 그곳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그러한 까닭으로 그의 작품 소재를 보면 초가집, 감나무, 달 등의 이미지를 통하여 성장기의 체험적인 시골생활 정감이 표현되곤 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마음이 바탕 되어 여러 가지 표현방법으로 나타나는데 그 가운데 초가집이 있는 풍경과 소나무의 표현은 그의 작품 소재에서 고향에 대한 중요한 표현이다.
초가집은 대체로 굵고 힘찬 필획으로 그려져 있다.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풍경을 담아내는 표현으로 초가에 내재된 한국적이고 자연적인 곡선을 나타내기도 한다. 초가집은 홀로 배치되거나 여러 채로 이웃이 되어 옹기종기 모여서 배치되기도 하고, 수십 채로 동네를 이루면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초가의 모습이 추상화처럼 둥근 곡선과 원형으로 조형화되어 표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초가집에는 그의 고향에 대한 아련한 추억과 향수가 내재되어 있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표현은 작품 제목에서도 나타나는데 <고향으로 가는 길목>, <고향집>, <겨울산가>, <향수의 언덕> ... 등이다. 이와 같은 고향을 중심으로 하는 풍경들은 오랫동안 그려져 왔는데 지금은 아련한 추억과 같은 향수의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다.
소나무는 여러 형식으로 표현되고 있지만 한국적 풍토에서만 나올 수 있는 붉은 소나무가 단순화되고 조형화되어 구부러진 모습, 곧게 뻗은 소나무,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소나무, 반추상으로 되어 있는 소나무, 단독으로 배치된 소나무, 탑과 같이 배치되어 있는 소나무, 집과 함께 배치된 소나무 등으로 특성들이 색채와 어울려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나무 그림들은 우리 산하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면서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향토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것이다.
3. 임무상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보면 첫째, 사물들을‘사의(寫意)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많은데 실경을 그대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주관화 하고 사의화 하여 그리는 것이다. 동양화에서 사의는 사물의 형태를 나타내면서 사물의 형식보다 그 내용이나 정신을 그리는 화법을 말하며 이는 임무상의 많은 작품에서 느껴진다. 단순히 사물의 외형 형태를 흉내 내지 않고 사물의 내면까지 생각하면서 이를 다시 자신 속에 내면화시켜 정신적인 필법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사의화를 통하여 대상을 나타내는 것이 임무상 작품세계에서 보여지고 있다.
둘째, 임무상의 채색화 표현에서는 다른 채색 작가와 다른 특성이 있다. 색채를 중첩적으로 발라 두께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마치 불화와 같이 두텁고 무거우며 강렬한 색채로 되어 있다. 임무상 자신이 직접 표구를 하면서 한겹, 한겹 쌓아올린 한지 위에 채색을 하는데 채색 재료도 직접 만들어 사용하여 일반적인 채색과는 다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직접 만든 채색재료들을 보면 벼루돌 가루, 황토 흙, 광물질, 흙, 도자 안료를 이용한 자연 석채 등 다양한 재료를 미디움에 섞어 채색물감을 만들어 화면에 칠한다. 이때 미디움에 의해 마치 서양재료 같이 두터우면서 무거운 효과를 나타낸다.
셋째, 임무상의 작품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표현 방법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사물을 보고 그대로 표현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대상을 단순화시켜 주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물을 그대로 표현한 것은 주변의 풍경들을 찾아 현장에서 스케치하고 그것을 그대로 작품으로 표현하는 실경을 말하는 것인데 주변의 풍경이나 농촌풍경 그리고 외국 풍경들을 그린 작품에서 실경의 표현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실경들은 <이천 산수유 마을>, <고향마을>, <한탄강 풍경>, <월악산>, <계룡산>, <독도>, <염전> ... 등 이름난 지역들을 직접 다니면서 스케치하고 이를 작품으로 옮겨 낸 것이다. 외국 풍경들은 < 영변 풍경> , <황산>, <항주>, <계림>, ...미국, 네팔, 히말라야 풍경을 보고 그린 작품들이 있다.
대상을 단순화시킨 작품들에서는 사물의 특성들을 포착하고 감각적인 단순화를 통하여 작품으로 나타내는 것인데 많은 작품에서 이와 같은 주관성이 나타난다. 단순화를 통한 감각적 표현은 임무상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성이고 개성적 표현이다. 예를 들면 산의 표현을 보면 산을 둥근형의 단순화된 선으로 표현하거나 산의 준을 나타내는데 있어 몇 개의 선으로 간략화 하여 표현한 것들이다. 그리고 채색화에서 나타나는 단순화도 볼 수 있는데 단순화된 먹선을 경계로 하여 처리한 풍경과 넓은 벌판, 구름, 산의 맥을 표현한 것에서 단순화의 표현을 볼 수 있다.
넷째, 임무상의 작품세계에서 금강산 작품들이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는 것도 특성이다. 금강산은 많은 작가들이 즐겨 다루는 소재이기도 하지만 임무상에게도 특별한 소재이기 때문이다. 금강산 작품에서는 실경이나 단순화된 웅장한 산의 형태와 기세가 잘 나타나 있다. 특히 단순화된 금강산 작품들에서는 압축된 산세의 형상미를 통하여 금강산의 기운이 잘 나타나 있다. 금강산을 그리는 임무상의 마음에는 항상 우리 민족의 영험스러운 산의 기운과 아름다운 산세를 마음속에 내재시켜 사의적으로 나타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금강산 작품에서는 웅장함과 기운이 잘 표현되어 있다.
4. 임무상의 작품세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무상 작품세계를 이루는 원천은 고향을 상징하는 시골 자연의 풍경 이미지인데 마음의 안식처와 같이 표현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고향이란 이름으로 다가가 그리움으로 남은 고향의 기억들을 작품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임무상의 작품세계는 다양한 볼거리가 많다. 진경산수화, 실경산수화, 초가집, 입체적인 표현, 주변풍경, 도시풍경, 외국풍경, 동물, 식물 등 하나의 표현에 매달리기 보다는 다양한 표현으로 작품세계의 폭을 넓혀준다. 그런 까닭으로 작품세계가 풍부하면서 여유롭다.
이와 같이 다양한 표현이지만 그의 작품세계 바탕을 이루고 있는 정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적인 산야에서 나타나는 향토미이다. 향토미를 통하여 잊혀져 가는 우리의 산하들 그리고 고향의 이미지들을 작품의 곳곳에 내재시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한국적인 향토미는 오늘날 메마르게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가슴에 한줄기 그리움으로 나타나면서 치유의 표현으로 이해되어지기도 한다.
The Expression of Spiritual Scenery with Local Beauty Inherent
- The world of Lim Moo-sang’s artwork -
Oh Se-gwon (Art Critic, Professor of Daejin University)
1. The concept of ‘tradition’ is important to artists who express Korean painting. That’s because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becomes vague if it is beside the concept.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lays in the difference of tradition when Korean painting is compared with Western painting. However, today’s Korean painting is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from Western painting. Many expression techniques of Western painting are converged and used together in Korean painting, and vice versa. Artists also use both expression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in a variety of ways, transcending the barrier. Despite this change, there are many artists who want to keep the tradition of Korean painting and stick to Korean expressions.
When asked what Korean painting is, many people recognize it as painting made with traditional expression techniques. Brush, hanji, ink stick and other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Korean painting, and with these materials, landscape paintings, flower bird paintings and others are made. This is the traditional method to make artwork in the Orient. There are also sumie, which focuses on ink, and color painting, which focuses on colors. These are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western painting that uses cloth, oil paints and acrylic paints.
Many of Korean painting artists think that it’s important to keep tradition while seeking for development in the tradition of Korean painting expressions in order to shine the world of their artwork. Therefore, they always try to maintain tradition and develop their art in the traditional expressions. Nevertheless, it’s not easy to form a new world of artwork only by tradition.
As development can be brought about when new tradition is established by the convergence of other cultures with the existing culture, so can new tradition be made in the painting world when the world of artwork is expanded through findings of new techniques and materials, and when experimental works different from existing expression techniques can be made. In the field of Korean painting, there are many artists who pursue experimental and novel tradition based on the tradition, and Lim Moo-sang is one of them.
He is an artist with experimental and adventurous mind compared to other artists in his age. He not only expresses sumie, color painting, real landscape painting, ideological landscape and animal painting in both two and three dimensions but also tries to use objet. The world of his artwork can be viewed very broad.
2. Lim Moo-sang was born and raised in Mungyeong, Gyeongsangbuk-do. That’s why many of the materials he uses in his works represent the warmth of rural life during his childhood such as thatched houses, persimmon trees and the moon. He expresses those in various ways based on his nostalgia about his hometown, and among them, the landscape with thatched houses and pine trees is very important in the materials in his works.
Thatched houses are drawn mostly with thick and powerful strokes. The expression that contains simple and moderate landscape represents Korean and natural beauty of curve inherent in thatched house. Thatched house can be arranged alone or neighboring with each other, or tens of houses form a village. The appearance of thatched house is also expressed in curve and round like abstract painting. Those thatched houses contain his memory and nostalgia for his hometown.
The longing for his hometown appears in titles, which are <The Corner towards the Hometown>, <Hometown House>, <Winter Mountain House>, <The Hill of Nostalgia>, etc.. The landscapes based on his hometown have been expressed in his works for a long time, and now they are expressed as the image of nostalgia.
Pine trees are expressed in various forms such as red pine tree, which can grow only in Korean natural features, simplified and formulated into a curved shape, straight one, delicately described one, half-abstract one, solely arranged one, the one arranged with a tower and the one arranged with a house, and they are well harmonized with colors. Those pine tree paintings symbolize Korea’s mountains and rivers and express the indigenous Korean emotions.
3. Characteristics of Lim Moo-sa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m are expressed through the expression of spiritual scenery, which is subjectivized and spiritualized instead of the actual scenery. The spiritualized expression in Oriental painting refers to the technique of expressing an object’s contents and spirit rather than its shape, and many of Lim Moo-sang’s works have this feature. In other words, it is a spiritual style of internalizing an object in itself instead of simply emulating its external appearance. Objects expressed through this spiritualization are shown in the world of his artwork.
Second, his color painting expressions have a differentiated feature from other color painting artists. He doesn’t show the thickness of colors by applying in multi-layers but expresses thick, heavy and intense colors like fire. He mounts paintings by himself coloring on the layered hanji, and he uses coloring materials that he creates, which is why his coloring has different effects from general coloring.
The coloring materials he makes are natural colors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inkstone powder, red clay powder, mineral substance, soil and ceramic pigment, and he mixes these materials with a medium to apply on the paper. At this time, these materials generate thick and heavy effects like Western coloring materials.
Third, the expression of his works can be classified broadly into two techniques. One is to express objects as they are, and the other is to simplify and subjectivize objects. These are <Icheon Sansuyu Village>, <Hometown>, <Hantangang River Scenery>, <Woraksan Mountain>, <Gyeryongsan Mountain>, <Dokdo>, <Salt Field> and so on. For these, he traveled all famous places and sketched sceneries. There are works that express foreign countries, which are <Yeongbyeon Landscape>, <Hwangsan>, <Hangzhou> and <Guilin>. There are also works for sceneries of America, Nepal and the Himalayas.
The works with simplified objects are those that he expresses by capturing special features of objects and by emotionally simplifying, and in many of his works, his subjectivity is well revealed. Th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simplification is the characteristics and unique expression in his works. For example, he expresses mountains with simplified round lines or a few brief lines. There is simplification in color paintings as well. The landscape, broad field, clouds and mountains are expressed with a simplified ink line as boundary, which are the simplified expressions.
Fourth, Geumgangsan Mountain is an important feature of Lim Moo-sang’s works. Geumgangsan is a subject employed by many artists, but it is special for Im Moo-sang as well.
His works of Geumgangsan show the mountain’s actual scenery along with simplified shapes and spirit of the magnificent mountain. The mind of Lim Moo-sang that expresses Geumgangsan is inherent with the miraculous spirit of our country’s mountains and the beautiful mountain terrain to express them spiritually. Therefore, the magnificence and spirit are well expressed in his works of Geumgangsan.
4. The above are about the world of Lim Moo-sang’s artwork. The source of his works is the landscape image of rural nature that symbolizes his hometown, which is expressed the same as the sanctuary of heart. His works come up to modern people in the name of hometown and and remain as the memory of hometown.
His works offer various things to see. Instead of sticking to one expression, he broadens the world of artwork with a variety such as real landscape painting, realview landscape painting, thatched houses,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surrounding landscape, urban scenery, overseas scenery, animals and plants. That’s why his works are full of relaxation and richness.
The sentiment that forms the basis of his artwork is the local beauty appearing in fields and mountains of Korea. He expresses our nature and hometown images that are gradually forgotten by including here and there in his works. The Korean local beauty referred here can be understood as a therapeutic expression as a streak of the longing that softens a hardened heart of today’s city pe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