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성의 현대한국화와 만남의 미학
임무상은 현대한국화의 영역에서 서구 미학과 차별화되는 한국적 미감을 탐구한다. 〈월송(月松)〉, 〈노거송(老巨松)〉, 〈금강별곡(金剛別曲)〉, 〈황산월색(黃山別曲)> 등 작품 제명에서 보이듯이, 임무상 은 한국화의 전통적 화제(畵題)를 계승하면서 그 속에 내재한 동 양의 고유한 미감 더 나아가 한국의 독자적 미감을 찾고자 한다.
한국성(Koreanity)은 이것에 관한 하나의 화두이다. 한국성은 과 거로부터의'전통성(tradition)'과 더불어 현재의 '정체성(identity)' 을 함께 아우르며 현대적 변형(變形)과 변용(變容)을 용인하는 개 념이다. 즉 뿌리는 그대로이나 가지들이 변화하는 추상적 생명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성에 근간한 한국적 미감이란 그런 면에서 김원 룡(金元龍)의'자연주의'그리고 고유섭(高裕燮)의'비정형성, 비균 제성, 무기교의 기교'와 같은 것들과 만난다. 이 모든 것들은 관계 와 만남의 미학일진대, 만남의 주체들이 반대편에서 서로 대립하 는 것이 아닌 느슨하게 연계하고 비스듬히 겹쳐 맞물려 있는 성향 을 드러낸다.
바로 임무상이 언급하고 있는'린(隣)'과 같은 세계인 것이다. "이웃, 보필(輔弼), 근접한"과 같은 의미들을 함유한 임무성의'린'의 세계에는 이러한 조화로운 관계와 만남의 미학이 작동한다. 그는 특히 자신의 작업이 한국성의 모색에 있음을 명확히 한다:"린(隣) 은 공동체 정신과 한국적 곡선 미학이 접목된 새로운 형상화 작 업을 시도한 한국성(Koreanity) 창출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현대한국화의 장에서'전통의 계승'과 그것의'현대적 변용'을 꾀하는 한국성을 실천하는 일이란 쉽지 않다. 종이, 붓, 먹이라는 한국화 고유의 매체적 한계를 저버리지 않고 끌어안으면서 오늘날 의 변용 가능한 한국성을 성찰하고 실천해야만 하는 까닭이다. 임 무상은 자신의 회화에서 한국성 또는 한국적 미감에 관한 사유와 회화적 성찰을 일련의'관계와 만남의 미학'으로부터 출발시킨다.
2. 한국성의 현대한국화와 만남의 미학
임무상은 현대한국화의 영역에서 서구 미학과 차별화되는 한국적 미감을 탐구한다. 〈월송(月松)〉, 〈노거송(老巨松)〉, 〈금강별곡(金剛別曲)〉, 〈황산월색(黃山別曲)> 등 작품 제명에서 보이듯이, 임무상 은 한국화의 전통적 화제(畵題)를 계승하면서 그 속에 내재한 동 양의 고유한 미감 더 나아가 한국의 독자적 미감을 찾고자 한다.
한국성(Koreanity)은 이것에 관한 하나의 화두이다. 한국성은 과 거로부터의'전통성(tradition)'과 더불어 현재의 '정체성(identity)' 을 함께 아우르며 현대적 변형(變形)과 변용(變容)을 용인하는 개 념이다. 즉 뿌리는 그대로이나 가지들이 변화하는 추상적 생명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성에 근간한 한국적 미감이란 그런 면에서 김원 룡(金元龍)의'자연주의'그리고 고유섭(高裕燮)의'비정형성, 비균 제성, 무기교의 기교'와 같은 것들과 만난다. 이 모든 것들은 관계 와 만남의 미학일진대, 만남의 주체들이 반대편에서 서로 대립하 는 것이 아닌 느슨하게 연계하고 비스듬히 겹쳐 맞물려 있는 성향 을 드러낸다.
바로 임무상이 언급하고 있는'린(隣)'과 같은 세계인 것이다. "이웃, 보필(輔弼), 근접한"과 같은 의미들을 함유한 임무성의'린'의 세계에는 이러한 조화로운 관계와 만남의 미학이 작동한다. 그는 특히 자신의 작업이 한국성의 모색에 있음을 명확히 한다:"린(隣) 은 공동체 정신과 한국적 곡선 미학이 접목된 새로운 형상화 작 업을 시도한 한국성(Koreanity) 창출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현대한국화의 장에서'전통의 계승'과 그것의'현대적 변용'을 꾀하는 한국성을 실천하는 일이란 쉽지 않다. 종이, 붓, 먹이라는 한국화 고유의 매체적 한계를 저버리지 않고 끌어안으면서 오늘날 의 변용 가능한 한국성을 성찰하고 실천해야만 하는 까닭이다. 임 무상은 자신의 회화에서 한국성 또는 한국적 미감에 관한 사유와 회화적 성찰을 일련의'관계와 만남의 미학'으로부터 출발시킨다.
3. 불가분의 곡선과 오방색의 미학
일원론에 근간한 선(線)'은 공간을 꿰는 시간과 같은 존재이다. 일원론적 선'은 공간 속에서 언제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지 속적으로 자리 이동시키면서 시간을 시각화하지만 정작 그것의 본 질은 나뉠 수 없는 존재이다. 우리의 삶에는 공간과 시간이 맞물 려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베르그송이 파악하고 있는 지속(duree) 이라는 삶의 시간(Vie du temps)과 같다. '삶의 시간'의 본질은 과 거, 현재, 미래라는 범주화와 나눔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너무나 자주, 끊이지 않고) 변화시키는 시간 운동(movement temporel) 이다.
임무상이 그의 회화에서 천착하는 곡선은 이러한 불가분(不可分)의 시간 운동을 지향한다. 그가 자연에서 발견하는 선에는 직선이 없다. 그가 자연으로부터 자신의 화화에 가져온 선들은 따라서 곡 선들이다. 그의 회화에서 하늘이 땅을 만나는 접지(接地)의 장은 구불구불한 곡선이며, 검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떠 있는 달님 아래 붉은 몸의 소나무들이 만드는 외형 역시 유기체의 외면을 닮아 있 는 곡선이다. 금강산의 외벽을 표현한 준법(峻法)은 구불한 선들로 만들어져 그것 자체가 차라리 한 폭의'곡선 부벽(付壁)'이 된다.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 보색 대비도 그의 회화의 한 특징이다. 황 (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색을 지칭하는 오방색은 서구의 빨강, 파랑, 노랑의 삼원색에 부가하는 흑백의 깊이의 측면 만큼이나 동양의 심오한 음양오행의 사상적 체계를 여실히 보여준 다. 이처럼 강렬한 보색이 일렁이고 비균질적이고 비정형화된 구 불거리는 둥글둥글한 선들이 똬리를 틀고 있는 그의 작업에서 우 리는'불가분의 곡선 미학'을 읽어 낼 수 있다. 그의 작업이 다루 는 화제들이 늘'삶의 시간성이 한데 녹아있는 공간성'을 탐구하 기 때문이다.
한편, 그의 곡선미는 완벽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복잡다기한 선묘 들을 버리고 그저 최소한의 선들을 남기는 간결함과 단순함이 그의 회화의 비균질적이고도 자연스러운 곡선들 속에서 돋보인다. 목판 화에서 보는 굵은 선묘들이 간결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동 양의 자연주의관에서 드러나는 넉넉함과 유연함은 임무상의 회화 가 지향하는 곡선의 미학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현대한국화는 간결하고도 단순한 유기적인 곡 선을 통해 자연주의 미학을 드러내고 오방색에 기초한 강렬한 보색 대비의 화면을 추구함으로써 전통의 계승과 재해석을 훌륭히 성취 한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관건이 있다면, 앞으로 그가 자신의 전통 적 화제를 어떻게 보다 더 효율적으로 동시대적 담론으로 변화시켜 갈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것이리라.